반응형

일상생활에서 사람은 생각보다 많이 피부감각에 의존합니다. 피부감각을 분류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 정성적(qualitative) : 관찰 유사성에 기초한 분류, 자극(열, 화학, 전기에너지와 같이 감각을 일으키는 에너지 형태)에 따라 분류합니다.

- 해부학적(anatomically) : 관여하는 감각기관이나 조직의 성질에 따른 분류

 

 

피부감각이란

 

해부학적 구조로 보았을 때 얼마나 많은 종류의 신경(nerve ending)이 있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합니다. 편의상 피부에는 크게 세 가지의 감각 계통이 있습니다. 압력 수용(pressure reception), 고통(pain), 온도 변화에 감응하는 감각입니다. 어떤 감각은 해당하는 특정 유형의 신경 말단이나 수용기의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현재 일반적으로는 이른바 패턴 응답(patterned response)의 원리의 작동을 통하여 수용기의 기능이 규정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피부감각 수용기 중에는 한 가지 이상의 에너지 형태나 특정 범위의 에너지에 응답하는 것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에너지 형태와 양에 의하여 자극된 여러 종류의 신경 말단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매우 다양한 감각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우리는 touch, contact, tickle, pressure라 합니다. 

촉각적 표시장치(tactual display)에서는 대개 손과 손가락을 기본 정보로 수용기로 이용합니다. 세공사의 경우 수세기 동안 촉각을 이용하여 표변의 거칠기와 불균일성을 체크합니다. 손은 부분에 따라 촉감이 다릅니다. 촉감의 일반적 척도의 하나인 two-point threshold는 두 점을 눌렀을 때 각각 지각할 수 있는 두 점 사이의 최소거리를 이야기합니다. 손가락 끝, 손가락, 손바닥에서 two-point threshold의 중앙치를 알아본 결과 손바닥에서 손가락 끝으로 갈수록 감도가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세밀한 식별이 필요한 촉각적 표식장치는 손가락 끝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촉감은 또한 피부의 온도가 낮아지면 나빠지므로 저온 환경에서 촉감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촉각적 표시장치

 

일상생활에서는 촉각에 많이 의존하지만 의도적으로 촉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한 정보 전달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촉각적 표시장치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자극유형은 기계적 진동이나 전기적 충격입니다. 진동장치의 위치, 주파수, 세기, 지속시간과 같은 물리적 매개변수에 기초한 기계적 진동에 의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전기적 충격은 전극의 위치, 펄스 속도, 지속시간, 강도 등으로 코드화 할 수 있습니다. 전기에너지는 기계적 진동보다 몇 가지의 장점이 있습니다. 전극은 피부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고 크기가 작으며 동력의 소모량이 적습니다. 그러나 전기에너지는 고통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감각과 달리 피부감각은 일반적으로 한정된 수의 독립 자극 전달에만 적절한 효과를 냅니다. 따라서 촉각적 표시장치가 잘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적어도 두가지 상황에서는 이러한 표시장치가 적절합니다. 첫 번째로 시각 및 청각의 부하가 지나칠 때 경계나 추적 목적으로 촉각적 표시장치를 활용할 수 있고 두 번째로 맹인용 보조수단으로써 사용도 가능합니다.

 

오늘은 피부감각과 촉각적 표시장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각이나 청각에 비해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크게 못할 것 같지만 인간은 생각보다 피부감각의 의존도가 높습니다. 특히 앞이 보이지 않으신 분들에게는 촉각적 표시장치가 정말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점자가 대표적입니다. 눈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표지판이나 책의 글씨를 눈으로 보고 읽지 못합니다. 따라서 점자를 이용하여 표지판이나 승강기의 버튼이 의미하는 바를 손끝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만일 이런 촉각적 표시장치가 없다면 맹인들이 생활하는 것이 정말로 불편해질 것이 분명합니다.

반응형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력과 지구력  (0) 2021.04.06
육체적 작업과 근육의 구조  (0) 2021.04.05
청각적 표시장치  (0) 2021.03.31
소리의 성질과 측정  (0) 2021.03.30
눈의 색식별, 읽기 및 지각(perception)  (0) 2021.03.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