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MH 과업의 한계 설정은 굉장히 신중해야 합니다. MMH 과업의 스트레스 정도를 추측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에서 각각 이러한 과업의 한계를 제공하고 있지만 서로 일치하지 않으며 한 방법에서 조차도 연구하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생체역학적 판단기준을 기준으로 한 한계 설정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 MMH 과업에 잘 적용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 판단 기준에 근거한 한계는 반복적이고 지속시간이 긴 과업에 주로 적용됩니다. 심리적 방법은 어떤 자료를 수집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상황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생체역학적 판단기준의 한계 

 

생체역학적 판단기준은 기본적으로 근력과 척추에 대한 압착력 이 두 가지 인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Poulson과 Jorgensen은 최대 등척 허리 힘(maximum isometric back strength)의 약 70%를 가끔 들기(시간당 1~2회), 50%를 반복 들기에 무게 한계를 적용하였습니다. 허리 통증은 디스크가 파열되거나 돌출되는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아무튼 디스크에 작용하는 압착력이 매우 중요한 인자이며 들기 중에 허리에 대한 스트레스의 기본 척도라는 것은 자명합니다. 압착력을 버틸 수 있는 척추의 힘은 그 사람의 나이, 주변 근육, 척추뼈의 단면적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연구결과 요추에 약 650 kgf의 압착력이 가해진다면 건장한 남자 작업자를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는 큰 위험일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보다 훨씬 낮은 압착력을 상한선으로 정해 설계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압착력은 하중의 수평 위치, 들기 시작 전 수직 위치, 들기 과업을 한 후에 이동하는 수평거리, 들기 과업의 빈도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과도한 MMH 작업의 위험 경감 방법

 

과도한 MMH 작업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복합적으로 문제를 분석해 보아야 합니다. 이 위험을 경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직무설계, 작업자의 선정, 작업훈련 등 3가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직무설계

 

MMH 관련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이스트, 크레인 등과 같이 들기를 보조해 줄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한다면 위험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 물건의 무게를 줄인다.

- 혼자서 들기 무거운 물체는 둘 이상의 사람이 같이 든다.

- 활동 방법을 바꾼다(들기 -> 끌기 혹은 밀기)

- 들기 과업 시 몸의 중심과 수평거리를 최소화 한다.

- 물건을 어깨 위로 들어야 하는 과업을 줄인다.

- 들기의 빈도를 줄인다.

- 중간에 휴식을 취한다.

- 반복 작업보다는 힘이 덜 드는 작업을 번갈아 가며 진행한다.

- 무거운 물체의 경우 손잡이를 설치한다.

 

2. 작업자 선정

 

MMH 관련하여 위험을 경감하려면 해당 직무에 적합한 작업자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업자의 능력을 확인한 후에 그 능력을 초과하는 업무를 할당하지 않도록 합니다. 여기에는 허리에 관련된 과거의 질병(질환) 사례, 건강검진 결과 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근력 시험은 큰 힘을 쓰거나 반복된 작업을 하는 업무의 작업자로 선정하는데 좋은 평가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3. 훈련

 

마지막으로 훈련입니다. 작업자를 배치하기 전에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배치하는 것이 MMH 관련 위험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 과업의 특성을 우선적으로 파악한 뒤에 들기 과업에 최적화된 방법을 만들고 습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력 혹은 유연성 훈련 등은 상해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추가로 해당 과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에 대한 교육을 한다면 MMH 관련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어찌 되었든 간에 산업 전반에서 육체적인 작업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많은 작업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반드시 강구해야 합니다.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직무를 필히 확인하고 위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합니다. 만일 위험이 발생한 과업을 발견하였다면 인간공학적으로 작업방법을 재설정하고 과업에 대해 올바른 훈련을 시킨다면 육체적인 작업에 의한 상해 및 질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